본문 바로가기
여행정보

와인제조시 이산화항 양과 탄닌 정도에 의한 와인차이

by 보물상점 2023. 12. 16.
728x90
반응형

와인제조시 이산화항 양과 탄닌 정도에 의한 와인 차이

와인은 많은 요소들에 의해 그 특성과 맛이 결정됩니다. 이 중에서도 이산화항 양과 탄닌의 정도는 와인의 차이를 크게 만들어줍니다. 이산화항은 와인에 있는 황과 관련된 화합물로서, 와인의 안정성과 색상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탄닌은 포도의 피부, 씨, 줄기 등에서 추출되는 화학물질로서, 와인의 신맛과 씁쓸함을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산화항 양에 의한 와인 차이

이산화항의 양은 와인의 산화와 안정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와인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황의 양에 따라 이산화항의 양도 결정됩니다. 이산화항은 와인에 침입하는 세균과 미생물을 죽이는 역할을 하므로, 이산화항이 많이 함유된 와인은 오랜 시간 동안 보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과도한 이산화항 양이 와인의 풍미에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이산화항이 많이 함유된 와인은 화학적으로 차갑고 거칠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탄닌 정도에 의한 와인 차이

탄닌은 와인의 맛과 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탄닌의 정도가 많을수록 와인은 더 깊은 색상과 향을 가지게 됩니다. 또한 탄닌은 신맛과 씁쓸함을 주는 성분이기도 하므로, 탄닌이 많이 함유된 와인은 풍미가 강하고 감칠맛이 있는 특징을 가집니다. 그러나 탄닌은 신맛과 씁쓸함 때문에 특히 어린 와인에서는 과하게 느껴질 수 있으며, 오래 보관한 와인에서는 탄닌이 부드러워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산화항과 탄닌의 정도에 따라 와인의 맛과 특성이 달라집니다. 이산화항이 많이 함유된 와인은 오래 보관하기 좋으며, 탄닌이 많이 함유된 와인은 강한 맛과 향을 가지게 됩니다. 이러한 와인의 특성은 와인 제조사의 스타일 및 포도 품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와인을 고를 때에는 이산화항 양과 탄닌의 정도를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여행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인에서 빈티지란?  (0) 2023.12.16
배럴 테이스팅이란?  (0) 2023.12.16
와인발효방법 - 탄소 침용방식  (0) 2023.12.16
리저브 와인 뜻과 만드는 법  (0) 2023.12.16
와인을 위한 포도 품종 종류 및 특징  (0) 2023.12.16